기본

정치

사춘기 2017. 2. 26. 14:15

정치

1.통치자 정치가 사회 구성원 다양한 이해관계 조정하거나 통제하고 국가 정책 목적 실현시키는

  • 2.사회 구성원 다양한 이해관계 조정하거나 통제하고 국가 정책 목적 실현시키는 하다.
  • 인터넷 백과사전에서는 이렇게 설명한다.

  • 어느날 갑자기 출근 준비를 하면서 옷장을 열었다.
  • 어떤 옷을 입고 갈까? 를 고민하다가 문득 정치라는 단어를 떠올렸다.
  • 정치와 출근할 ?대 입을 옷을 고르는 것이 어떤 상관관계인지 설명하기 힘들지만
  • 그 순간 그렇게 느껴졌다.
  • 사는 게 정치구나 라고.
  • 국회의원이나 대통령이 하는 행위가 정치가 아니라
  • 세상 속에서 사는 것이 정치라는 것을.
  • 그 때 내 나이가 오십? 오십대 초반?

  • 그 깨달음(?) 이후 내 사고는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.
  • 학교 다닐 때 국어를 못하면 다른 공부도 못한다는 선생님의 말씀이 한 줄로 꿰졌다.

    엄마의 말씀처럼 사람은 자라면서 해야하는 동작을 꼭 한다고 하셨다.

    다만 시기가 빠르냐 늦냐의 차이가 있을 뿐.

    난 증등교육 고등교육 때 생각했어야 할 사고를 이제야 하고 있으며 배우고 있는 셈이다.

    뉴스가 주는 이면의 뉴스를 생각하고 왜 저 뉴스가 나오게 되었는가를 생각하고

    그 배경이 어떻게 법제화 되어 내 주변으로 오는지도 어떤 계기로 깨닫게 되었다.

    그 시간이 몇 년이 걸려서 알게 된 것이지만.


    정치는 큰 게 아닌 것 같다.

    내 행동과 생각이 정치고

    내 가정에서 가족와의 관계도 정치

    학교에서 혹은 직장에서 관계 또한 정치인 것 같다.

    우리가 느끼지 못해서 그렇지.

    연애를 잘하는 사람이 왜 잘사는지를 안다면 그 사람은 정치 고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.

    '기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    눈동자 상처입다.  (0) 2017.03.08
    편의시설 복지?  (0) 2017.03.01
    재수없는 이야기  (0) 2017.02.25
    눈을 흘리다.  (0) 2017.02.21
    충격받다.  (0) 2017.02.19